신협비과세(2)
-
신협 비과세 이용하기 (feat.상호금융권 예금, 적금 이용하기)
예금, 적금도 비과세가 가능하다고 하면서, 알려드린 내용이 있었습니다! [재테크] - 예·적금도 비과세가 가능하다? / 비과세종합저축 vs 비과세 vs 일반과세 예·적금도 비과세가 가능하다? / 비과세종합저축 vs 비과세 vs 일반과세 "은행에서 예금, 적금을 가입하는데 무슨 비과세에요?! 세금이 있어요?! " 은행에서 1천만원을 정기예금 3% 이율에 가입 했을 경우, 총 300,000원을 받는게 맞습니다. 하지만? 은행에서 주는 돈은 253,800원입니다.. ddongree.tistory.com 예금 이자부분에서 세금 15.4%를 제하는데 이 세금을 1.4%만 제하는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! 앞서 내용에서는 간단하게만 말씀을 드렸기 때문에 이번 편에서는 좀 자세하게 설명드리려고 합니다! 내가 만약, 노원..
2019.12.18 -
예·적금도 비과세가 가능하다? / 비과세종합저축 vs 비과세 vs 일반과세
"은행에서 예금, 적금을 가입하는데 무슨 비과세에요?! 세금이 있어요?! " 은행에서 1천만원을 정기예금 3% 이율에 가입 했을 경우, 총 300,000원을 받는게 맞습니다. 하지만? 은행에서 주는 돈은 253,800원입니다. 이자 300,000원에서 15.4%의 세금(46,200원)을 제하고 주기 때문입니다. 15.4% 바로 이 세금! 15,4%(46,200원)의 세금을 줄이는 방법이 있습니다! 예·적금에서 세금을 줄일 수 있는 상품은 총 2가지 상품이 있습니다. 첫번째로, 비과세종합저축 비과세종합저축이란 5천만원 한도에서 세금이 0%이지만, 만 65세이상, 장애인 등 저소득 및 소외계층을 대상자로 합니다. 또한 은행, 저축은행, 신협, 새마을금고 등 전 금융기관에서 사용 가능합니다. 두번째로, 비과세..
2019.12.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