금융꿀팁

중소기업 청년전세자금대출 총 정리 / 준비서류, 한도, 금리

돈백뭉뭉 2019. 12. 19. 07:00

월세와 전세, 어떤 게 더 이득일까요?

월세는 보증금이 적은 대신 매달 나가야 하는 금액이 크고

전세는 매달 나가야 하는 금액이 없는 대신 큰 목돈이 필요합니다.

 

대부분 목돈이 없는 사회초년생들에겐 전세는 꿈도 못 꾸겠죠?

그런 사회초년생을 위해 만들어진 대출이 바로

"중소기업 청년전세자금대출" 입니다.

대출대상

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이하(외벌이 3천5백만원 이하), 

중소·중견기업 재직자(만 19세이상~만 34세 이하 청년(현역 병역의무자의 경우 만 39세이하)

중소기업진흥공단,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보증기금의 청년창업 지원을 받은자

 

대출금리

연 1.2% (고정금리)

 

대출한도

최대 1억원 이내

 

대출기간

최초 2년(4회 연장, 최장 10년 이용가능)

 

중도상환수수료

없음

 

고객부담비용

주택도시보증공사 보증료

대출금액의 0.05% + 전세금반환보증금액의 0.128%(아파트), 0.154%(그 외 주택)

한국주택금융공사 보증료

0.12%(임차보증금 1억원 이하), 0.15%~0.22%(임차보증금 1억원 초과 ~ 4억원 이하)

 

 

주택도시보증공사 보증서 담보일 경우, 전세보증금의 100% 가능(1억 한도)

한국주택금융공사 보증서 담보일 경우, 전세보증금의 80% 가능(1억 한도)

 

 

예를 들어, 1억 전세 집일 경우 

주택도시보증공사 보증서 담보일 경우, 100%(1억) 가능

한국주택금융공사 보증서 담보일 경우, 80%(8천만원) 가능

 

 

준비서류

★중소기업 취업청년

소속기업의 사업자등록증(사본)

 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이력내역서(피보험자용)

 소속기업이 발급한 국세청 기준 주업종코드 확인자료(홈택스 출력화면 등)

 

청년창업자

 중소기업진흥공단, 신용보증기금 또는 기술보증기금에서 청년 창업 관련 보증 또는 대출을 지원받은 내역서

 

*자산확인서류 : 부동산, 건축물, 자동차, 금융자산 및 부채 등 자산확인서류 (주택도시보증공사가 온라인으로 자동수집)

 

*주택도시보증공사가 전자적으로 수집하는 서류는 직접 징구 생략 가능

 

*각 금융기관마다 취급하는 서류가 다르오니 꼭 서류 문의하고 방문하세요!

 

취급은행

 

<방문하지 않아도 신청가능?>

기금e든든 사이트(enhuf.molit.go.kr)에서 온라인으로 대출신청 가능!

 

 

★소소한 꿀팁★

전세물건을 구할 때, 부동산에 가서 "<중소기업 청년전세자금대출>을 받고 싶다."

라고 하면 알아서 가능한 물건들만 보여줍니다.

일단 마음에 드는 물건을 본 후에, 그 물건이 중소기업 청년전세자금대출 한도가 나오는지?

대상물건이 맞는지? 은행가셔서 확인한 후 계약하세요.

집주인이 "빨리 계약하라고 안그러면 다른 사람한테 넘기겠다." 라고 재촉하는 경우,

계약서 특약에 중소기업 청년대출한도가 나오지 않을 경우 계약무효라는 내용을 꼭 넣으세요.

 

전세보증금이 100%가 나올 수 있는 보증서를 알려드리긴 했지만,

사실 100%받기는 80%받는 것보다 어렵다고 합니다.

집주인이 동의해야 하는 것도 있고 서류가 복잡하다고 합니다.

이럴 경우, 은행에 가셔서 80%한도로 다 받고 나머지 20%는 신용대출이 가능한지 문의하세요.

중소기업 청년전세자금대출이 1.2%의 저금리이기 때문에

무조건 이걸로 최대 한도를 다 받고 나머지는 신용대출로 하시기 바랍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