금융꿀팁

출자금 통장이 무엇인가요?(신협, 새마을금고)

돈백뭉뭉 2020. 3. 26. 22:18

출자금 통장 이란?

 

신협 출자금 통장

 

신협이나 새마을금고의 조합원이 되는 통장!

조합원이 되려면 출자금 통장을 만들어야 하고

출자금 통장을 만들면 조합원이 되는겁니다!

조합원 = 주주

이렇게 생각하시면 편한데요~?

기업에는 주식을 가지고 있는 주주가 있고

신협에는 출자금통장을 가지고 있는 조합원이 있는겁니다.

출자금 통장 또한 주식과 아~주 비슷합니다.

신협이 일년동안 대출도 하고 예금도 해서 돈을 벌었습니다.

수익이 많이 나게 되면 그 일부분을 조합원들에게 배당금으로 지급하죠.

수익에 따른 배당금을 지급하므로 고정금리는 아니지만 예금금리보다는 높은 금리를 자랑합니다.

[금융꿀팁] - 예·적금도 비과세가 가능하다? / 비과세종합저축 vs 비과세 vs 일반과세

 

예·적금도 비과세가 가능하다? / 비과세종합저축 vs 비과세 vs 일반과세

"은행에서 예금, 적금을 가입하는데 무슨 비과세에요?! 세금이 있어요?! " 은행에서 1천만원을 정기예금 3% 이율에 가입 했을 경우, 총 300,000원을 받는게 맞습니다. 하지만? 은행에서 주는 돈은 253,800원입니다..

ddongree.tistory.com

또한 예금, 적금이 3천만원까지 비과세가 된다면

출자금 또한 1천만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!

 

여기서 잠깐!

출자금 통장은 좋은 점만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!

일단 주식과 같이 예금자 보호가 되지 않고, 대개 예금금리보다 높은 금리의 배당금을 지급하지만 그 또한 수익을 많이 낼 수 있는 곳에서나 가능한 일이고, 수익이 나지 않은 곳에서는 배당금이 0%일수도 있답니다. 

 

그러므로 주식을 살 때, 그 기업의 재무상태를 보듯이 출자금통장에 투자하기 전에 그 기업의 재무상태는 어떠한지?         어디에 투자를 하고 있는지? 그 투자처가 위험하진 않은지?에 대해 물어보고 투자하세요!

[금융꿀팁] - 신협 비과세 이용하기 (feat.상호금융권 예금, 적금 이용하기)

 

신협 비과세 이용하기 (feat.상호금융권 예금, 적금 이용하기)

예금, 적금도 비과세가 가능하다고 하면서, 알려드린 내용이 있었습니다! 2019/12/16 - [재테크] - 예·적금도 비과세가 가능하다? / 비과세종합저축 vs 비과세 vs 일반과세 예·적금도 비과세가 가능..

ddongree.tistory.com